화장품, 보건산업분야 창업률·휴폐업률 모두 1위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 창업·고용현황·평균매출 등 담은 조사 결과 발표

박일우 기자 free@cmn.co.kr [기사입력 : 2022-06-27 15:39:16]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CMN] 화장품이 최근 7년간 보건산업 분야 중 가장 많은 창업기업을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화장품 신규 창업기업은 765개로 보건산업 전체의 45.2%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휴·폐업한 분야도 화장품이다. 2013~2018년까지 957개사가 휴·폐업했다.

신규 고용창출 역시 화장품이 일등이다. 2019년 기준 전체 35.9%3,282명의 일자리를 만들어냈다. 매출액 부분에서도 2020년도 기준 평균매출액 193000만원을 기록, 보건산업 분야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는 창업기업의 성장 주기별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2018년부터 매년 조사(20214회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2019년말 기준 모집단 내 803개 보건산업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진행했다.

최근 7년간 화장품 창업기업 4,906
2019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은 총 1,694개로 조사됐다. 화장품 분야가 765(45.2%)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기 584(34.5%), 연구개발 212(12.5%), 의약품 127(7.5%), 기타 6(0.4%) 등 순서로 나타났다.

최근 7년간(’13~’19)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은 총 9,885개이고, 연도별 창업기업 수는 증가 추세로 2013885개에서 20191,694개로 약 2배 증가했다.

최근 7년간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 중 화장품 분야가 4,906(49.6%)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의료기기 3,518(35.6%), 연구개발 932(9.4%), 의약품 455(4.6%), 기타 74(0.7%) 등 순서로 집계됐다.

·폐업률, 화장품>의약품>의료기기 순
보건산업 분야 창업기업 중 2013~2018년 동안 총 1,648개사가 휴·폐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최근 연도인 2018년 창업기업 휴·폐업률은 의약품 13.6%, 화장품 12.2%, 의료기기 8.6%, 연구개발 6.0% 순이다.

보건산업 창업기업 전체 휴·폐업률은 16.7%이며 창업 연차가 오래될수록 휴·폐업률은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폐업률은 화장품 분야에서 19.5%(95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약품 16.9%(77), 의료기기 13.9%(489), 연구개발 13.2%(123)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신규고용 9,135명 화장품 3,282
2019년 창업기업의 신규 고용창출은 총 9,135명이며, 화장품 분야가 3,282(35.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의료기기 3,239(35.5%), 연구개발 1,837(20.1%), 의약품 741(8.1%), 기타 36(0.4%) 등 순서로 나타났다.

신규인력 중 연구개발 인력이 총 3,589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39.3%)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사무직 3,465(37.9%), 영업직 838(9.2%), 생산직 825(9.0%), 기타 417(4.6%) 순으로집계됐다.

분야별 연구개발 신규인력 비중은 의료기기 35.3%, 연구개발 31.4%, 화장품 22.3%, 의약품 10.3%, 기타 0.7% 순이었다.

최근 7년간(‘13~’19) ·폐업을 제외한 생존 창업기업의 2020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67,914명이며, 그 중 연구개발 인력이 21,998명으로 32.4%를 차지했다.

보건산업 전체 기업당 평균 종사자 수는 8.0명이며, 의약품 분야 평균 종사자 수가 15명 내외(14.6)로 가장 많고, 연구개발 11.7, 의료기기 7.8, 화장품 7.1, 기타 5.4명 등 순서로 나타났다. 2019년 창업기업당 평균 종사자 수가 전 산업의 경우 1.5, 제조업의 경우 3.9, 지식서비스업의 경우 2.5명인 것에 비춰볼 때, 보건산업 분야는 타산업과 비교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전문인력 필요 분야로는 연구개발이 5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유통 및 마케팅 42.9%, 영업 37.3%, 생산 및 품질관리 33.3%, 해외진출 24.2% 등 순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이는 보건산업 분야에서 신규인력 중 연구개발 인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구개발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을 보여준다. 지속적인 보건산업 분야 연구개발 인력 양성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평균 창업자금 3억 화장품 3500만원
최근 7년간(’13~’19) 창업기업의 평균 창업자금은 3억원, 창업 이후 자금 조달액은 102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의약품 분야가 평균 54200만원으로 창업자금이 가장 많이 들었고, 연구개발 31700만원, 화장품 3500만원, 의료기기 26700만원, 기타 191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금 조달 방법으로 자기(본인)자금(67.7%), 민간금융(12.1%), 정부정책자금(9.9%), 개인 간 차용(6.9%)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창업 이후 자금조달 방법으로는 민간금용(33.9%), 정부정책자금(32.9%), 자기(본인)자금(24.6%), 개인 간 차용(5.0%)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매출 1년차 3.27년차 21.5억 증가
창업기업 연차별 평균매출액은 창업 1년차 32700만원에서 7년차 215500만원으로 증가했다. 창업 후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기에 들어서며 기업 매출액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7년간(’13~’19) 창업기업 2020년도 평균매출액은 132400만원으로 집계됐다. 분야별 평균매출액은 화장품이 193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제약 122000만원, 의료기기 767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 현황을 보면, 202012월 기준 연구개발 인력 보유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금액은 평균 45300만원으로,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4.3%.

전체 보건산업 창업기업 중 68.8% 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연구소 35.4%, 전담부서 19.6%)과 인력(13.8%)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개발비는 자체부담 31300만원과 정부 재원 12000만원으로 자체부담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창업기업 과반수 이상 정부지원사업 신청
창업기업 중 41.6%가 창업지원 사업 수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정책자금(60.2%), 연구개발(R&D) 지원(54.9%), 사업화 지원(41.2%) 등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복수 응답) 신청했으나 지원받지 못한 창업기업을 포함하면 창업기업 과반수가 지원사업을 신청해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창업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정책으로 대부분 정책자금, 판로·마케팅·해외전시, 연구개발(R&D)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창업단계별로는 창업기 기업은 교육, 연구개발(R&D)지원을 원했고, 성장기·성숙기 기업은 성장 발판이 되는 정책자금 또는 판로·마케팅·해외전시를, 쇠퇴기에 해당하는 창업기업은 기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자금 또는 상담(멘토링·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정책자금·연구개발(R&D)지원·사업화 지원·상담(컨설팅창업교육 등 기업이 수혜받은 분야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창업 연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 분야가 달라지고 있으므로, 향후 정부 창업 지원사업은 창업 생애주기에 따른 수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보건복지부 이형훈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19년도 보건산업 분야 신규창업은 1,694개로 지난 7년 동안 두 배로 성장하였으며, 신규 고용도 9,135명이 창출되는 등 보건산업 분야 창업 생태계는 급성장하고 있다앞으로 보건산업 분야에서 신규창업을 활성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철행 보건산업육성단장은 보건산업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1:1로 전문가를 연결해 아이디어부터 연구개발(R&D), 인허가, 창업, 판로개척, 상담(컨설팅)에 이르는 사업화 전 주기적 지원을 하고 있으므로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를 십분 활용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뉴스레터뉴스레터구독신청

제휴사 cbo kantarworldpanel kieco
img img
스크린뷰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