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평균 결제금액 5만3천원···색조 판매 큰 폭 증가

'헤라' 메이크업·남성·선케어 등 3개 카테고리 점유율 1위

심재영 기자 jysim@cmn.co.kr [기사입력 : 2022-10-29 14:30:38]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데이터로 본 2022 대한민국 뷰티 트렌드

[CMN 심재영 기자]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아이디어웨어(대표 차양명)는 지난달 20일 앱과 소매시장의 사용자 행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를 통해 데이터로 보는 2022년 대한민국 뷰티 트렌드리포트를 발표했다.

데이터로 보는 2022년 뷰티 트렌드 리포트에서는 소비자의 뷰티 관련 앱 사용, 소매 결제, 온라인 뷰티 상품 구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분석한 결과와 함께 실시간 서비스 트래픽, 결제금액, 상품 판매량 등 구체적인 정보를 수록하고 시장 현황을 분석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뷰티 관련 앱은 올리브영 앱이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했으며, 뷰티 관련 앱의 사용자는 20대 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뷰티 관련 앱 사용시간은 월 평균 14분으로 집계됐다.

화장품 리테일 결제금액은 올리브영, 애터미, 아모레퍼시픽 순이었고, 50대 이상 여성의 결제금액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컸으며, 1인 평균 결제금액은 53천원대로 파악됐다.

화장품 카테고리별 판매금액 점유율은 색조/메이크업이 전년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색조/메이크업 중에서도 베이스메이크업의 성장률이 높았다. 실외 마스크 착용이 해제된 것이 색조/메이크업 판매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화장품 카테고리별 점유율은 헤라가 색조/메이크업, 남성화장품, 선케어/태닝 등 3개 카테고리에서 1위를 차지해 최강 브랜드 임을 입증했고, 스킨케어는 설화수, 클렌징은 닥터지, 향수는 딥티크가 각각 1위의 영예를 안았다.

뷰티 앱, 커머스 중심으로 진화

뷰티 관련 앱은 크게 커뮤니티/정보교환, 커머스, 브랜드 멤버십으로 구분된다. 과거에는 이들 각각의 영역이 독립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커머스를 중심으로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올리브영앱은 뷰티 관련 앱 중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부분의 뷰티 관련 앱 사용자 수가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추세인데 반해 올리브영 앱은 최근 4년간 가장 많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만 10세 이상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사용자를 추정한 결과다.

/오프라인 커머스 앱의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용자를 비교해 보면, 올리브영은 2019869만명에서 20228174만명으로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이니스프리는 사용자가 24만명에서 12만명으로 절반 가량 줄었다.

같은 기간 아모레몰은 5만명에서 7만명으로, 시코르는 202081만명에서 202283만명으로 증가했다.
온라인 커머스 앱의 경우는 화해와 글로우픽 모두 사용자가 감소하는 추세다. 화해는 20198108만명에서 2022873만명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글로우픽은 11만명에서 4만명으로 감소했다.

또한, 퍼스널컬러 앱의 사용자를 비교해보면 잼페이스는 201984만명이었던 것이 2022822만명으로, 코콘은 202182천명에서 1년 만에 4만명으로 급성장했다.

설치한 앱을 얼마나 사용하는지 알아봤더니 뷰티 관련 주요 앱들의 평균 사용률은 38.8%였다. 코콘의 사용률이 51.0%로 가장 높고, 이니스프리 앱은 25.2%로 가장 낮았다. 올리브영은 43.9%, 아모레몰 36.8%, 화해 36.4%, 글로우픽 36.1% 순이었다.

뷰티 관련 앱 사용자의
84%는 여성일 정도로 뷰티 관련 앱 대부분 여성 사용자의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리브영, 아모레몰, 화해 앱의 경우 상대적으로 남성 사용자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여성 사용자 비중이 가장 높은 앱은 이니스프리로, 95.0%가 여성이었으며 글로우픽도 사용자의 94.4%가 여성으로 파악됐다. 남성 비중이 가장 높은 앱은 화해로 사용자의 20.5%가 남성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뷰티 관련 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30>40>50>10대 순이었다.
세대별 사용자 연령대 분포는 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올리브영, 이니스프리, 아모레몰 앱은 전연령이 고르게 사용했으며, 시코르와 글로우픽, 코콘은 20대가 주로 사용했다. 잼페이스와 코콘은 10대 사용자가 다른 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관련 앱 사용자들은 월 기준 평균
14분 정도 뷰티 관련 앱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모레몰 앱의 경우 평균 사용시간이 2951초로 다른 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고, 특히 40대 이상 여성의 사용시간이 길었다. 아모레몰 앱의 40대 여성 사용시간은 3416, 50대 이상 여성은 4012초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올리브영 사용시간이 1443, 이니스프리 148, 시드물 1350, 화해 1215, 잼페이스 1144초 순으로 집계됐다.

리테일 평균 결제금액 53천원대

화장품 리테일 결제금액
TOP3는 올리브영>애터미>아모레퍼시픽이 차지했다.

올리브영 결제금액 기준 환산값으로 다른 화장품 리테일 결제금액을 보면, 관련 리테일들 간의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세 이상 한국인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결제한 금액을 표본조사한 결과다. 법인카드, 법인 계좌이체, 기업 간 거래, 현금, 상품권, 기프티콘, 간편결제 등을 통해 결제한 금액은 포함되지 않았다.
올리브영 결제금액을 100으로 봤을 때 애터미가 32, 아모레퍼시픽 24, 뉴스킨코리아 16, 아모레카운셀러 9 순이었다.

앱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결제금액 비중이 월등히 높고 50대 이상 연령의 지출이 가장 많았다. 결제금액 비중의 74.3%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루피움은 결제금액의 90% 이상이 여성으로 집계됐다.

결제금액의 연령 비중은 50대 이상>30>40>20대 순이었으며, 애터미, 아모레퍼시픽, 스크릿다이렉트코리아의 경우는 결제금액의 50% 이상이 50대 이상이었다.

, 1인 평균 결제금액에 따라 결제금액 점유율과 결제자수 점유율이 극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영, 이니스프리, 아리따움은 결제금액 점유율보다 결제자수 점유율이 더 높았으며, 애터미, 아모레퍼시픽, 뉴스킨코리아, 아모레카운슬러 등은 결제금액 점유율이 결제자수 점유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리테일 평균 결제금액은 53,173원이었다. 올리브영, 이니스프리, 아리따움은 상대적으로 1인 평균 결제금액이 낮은 편이었고, 아모레카운셀러, 오휘는 1인 평균 결제금액이 30만원 이상이었다.

아모레카운셀러의 1인 평균 결제금액은 318,320원으로 가장 높았고, 오휘 306,515, 뉴스킨코리아 236,225,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 223,345, 아모레퍼시픽 203,744, 애터미 195,253원으로 집계됐다. 올리브영은 32,606원으로 가장 낮았다.

실외 마스크 해제 영향 색조 판매 증가

20228월 기준 결제금액을 화장품 카테고리별로 보면 색조/메이크업 결제가 많아졌다. 색조/메이크업 결제금액은 지난해 8월 전체 카테고리 중 3위에서 올해는 2위로 한계단 상승했다.

20228월 기준 화장품 내 주요 카테고리별 판매금액 점유율은 스킨케어>색조/메이크업>클렌징 순이다.

이는 네이버스마트스토어, G마켓/G9, 옥션,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 CJ온스타일, 현대홈쇼핑, 공영홈쇼핑 등 국내 주요 10개 종합 온라인쇼핑몰 내 인기 소비재 상품 판매 결과를 수집, 분석한 결과다.

화장품 카테고리별 판매금액 점유율은 스킨케어와 클렌징
, 향수는 전년 동월대비 감소했고, 색조/메이크업, 남성화장품, 선케어/태닝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그 중에서도 색조/메이크업의 경우 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7.5% 17.8%)했다.

판매금액으로 보면 화장품 내 모든 카테고리가 전년 동월대비 늘었다. 색조/메이크업의 판매금액이 전년 동월대비 332% 증가했고, 남성화장품 111%, 선케어/태닝 82%, 향수 79%, 스킨케어 59%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점유율과 판매 금액 성장이 가장 큰 색조/메에크업 카테고리 내에서는 베이스메이크업이 매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베이스메이크업의 판매금액 점유율은 2021843.5%에서 2022862.7%로 변화했다.

이는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따른 영향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밖에 색조/메이크업 내 모든 카테고리가 점유율에 따른 증감은 있으나 전체적인 판매금액이 전년동월대비 크게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색조
/메이크업 내 카테고리별 판매금액 변화 추이를 보면, 베이스메이크업이 523% 증가했고, 네일케어가 260% 증가해 베이스메이크업의 뒤를 쫓았다.

그 다음 네일케어가 260%로 뒤를 이었고, 립 메이크업/립 케어가 195% 증가, 아이 메이크업 174% 증가, 볼터치/하이라이터/컨투어링 149% 증가를 기록했다.

헤라화장품 3개 카테고리서 1

화장품 카테고리별 브랜드 점유율을 보면 스킨케어는 설화수가 1위를 차지했고, 클렌징은 닥터지, 향수는 딥티크가 1위의 영예를 안았다. 헤라는 색조/메이크업, 남성화장품, 선케어/태닝 등 3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스킨케어는 설화수, 아이오페, 가히, 인셀덤, 닥터지가 TOP5를 형성했고, 색조/메이크업은 헤라, 라네즈, 에뛰드하우스, 조르지오 아르마니, 클리오가 TOP5 안에 들었다. 클렌징 TOP5는 닥터지, 설화수, 도브, 프리메라, 센카였고, 남성 화장품은 헤라, 비오템, 아이오페, 오딧세이, 우르오스가 TOP5를 차지했다. 선케어/태닝은 헤라, 닥터지, 셀퓨전씨, AHC, 엘로엘이, 향수는 딥티크, 바이레도, 조말론, 랑방, 불가리가 각각 TOP5의 영예를 안았다.


[본 기사는 주간신문CMN 1191(2022112일자) 마케팅리뷰 기사입니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뉴스레터뉴스레터구독신청

제휴사 cbo kantarworldpanel kieco
img img
스크린뷰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