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3분기도 고전

매출‧영업이익 모두 감소…중국 부진이 성장 발목

심재영 기자 jysim@cmn.co.kr [기사입력 : 2023-10-31 15:41:00]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CMN] ‘K뷰티의 선두주자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올해 3분기에 중국의 경기 침체 등으로 아쉬운 성적표를 거뒀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31일 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9633억원의 매출과 28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7% 하락했으며, 영업이익은 12.7% 감소한 수치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미주와 일본, EMEA(유럽중동) 등 해외 시장에서 매출이 성장했지만 면세, 글로벌 이커머스, 중국 시장에서 매출이 회복되지 못해 그룹 전체 매출이 저조하다고 설명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면세 및 글로벌 e커머스 채널에서 매출이 하락하며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한 543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 감소와 데일리 뷰티 부문 적자 전환으로 인해 전체 국내 영업이익은 34.5% 하락했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미주, EMEA, 일본에서 높은 매출 성장세를 보였으나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 매출이 하락하며 전년 대비 4% 감소한 317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미주와 EMEA 지역에서의 마케팅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지역에서 적자 폭이 줄어들며 전체적으로는 영업 적자가 축소됐다.

특히 미주와 EMEA 지역은 지속해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35%의 매출 성장을 이뤄낸 미주에서는 ‘6세대 윤조에센스를 출시한 설화수와 멀티브랜드숍(MBS) 채널 접점을 확대한 이니스프리 등 핵심 브랜드가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라네즈의 경우 멕시코 세포라에 론칭하며 중남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기도 했다.

LG생활건강은 올 3분기 전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17462억원, 영업이익은 32.4% 감소한 1285억원을 기록했다.

음료(Refreshment) 매출은 지속 성장했으나 화장품(beauty) 및 생활용품(HDB, Home Care & Daily Beauty) 매출이 모두 감소하며 전사 매출이 줄었다. 중국 경기 둔화로 인해 화장품 수익성이 하락하고, 국내 가맹점 사업 종료 및 북미 사업 관련 구조조정 진행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화장품 사업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1% 감소한 6702억원, 영업이익은 88.2% 감소한 80억원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 화장품 사업은 중국의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주요 채널의 매출이 감소했고, 국내 내수 채널은 성장이 지속됐다. 소비 심리 위축 영향 등으로 면세 및 중국 매출이 두 자릿수 감소했으며, 국내 H&B 및 온라인 매출은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주요 채널 수요 약세 및 구조조정 비용 등으로 감소했다.

마케팅에서는 리브랜딩 활동을 통한 럭셔리 브랜드 입지 강화를 위해 더후대표 라인 천기단리뉴얼 및 중국 오프라인 론칭 행사를 진행했으며, M&A를 통한 색조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해 무드 기반 색조 브랜드 ‘hince(힌스)’를 인수해 제품 및 MZ 고객 저변 확대를 추진했다.

생활용품(HDB) 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5701억원, 영업이익은 16.8% 감소한 467억원을 기록했다.

데일리뷰티 실적은 견조했으나 원료사업 기저 부담이 지속되며 매출은 소폭 감소했다. 주요 브랜드인 유시몰’, ‘FiJi’, ‘엘라스틴등은 매출이 성장했고, ‘피지오겔도 데일리뮨 앰플 제품의 판매 호조로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고정비 부담이 지속되며 감소했다. 데일리뷰티에서는 탈모스타일링을 모두 잡은 닥터그루트’, 밀도케어TM 프로페셔널 샴푸와 치아 착색 억제 효과가 있는 죽염잇몸케어 화이트닝 치약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기능성 신제품을 출시하며 주요 프리미엄 브랜드를 집중 육성했다.

한편, 양사는 4분기에도 해외 시장 저변 확대에 힘을 쏟는 한편, 성장 잠재력 있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강화하고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으며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 및 엔진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며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지형 재편도 추진한다. 새롭게 설정된 집중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유통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업 모델을 시도해 지속적인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