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제조업 체감경기 1분기만에 '뚝'

3분기 BSI 100 전분기대비 23p 하락 체감경기 급랭... 전체 제조업 중에선 선방

박일우 기자 free@cmn.co.kr [기사입력 : 2022-07-05 10:57:44]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CMN] 화장품 제조업체들이 3분기 경기를 매우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화장품 제조업 경기전망지수가 ‘100’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23p나 크게 하락했다.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중국 봉쇄 등 영향으로 1분기만에 화장품 제조업체들의 체감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전국 2,389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23분기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지난 2분기(96)보다 17포인트 감소한 79로 집계됐다.

매출 대비 수출 비중 50%를 기준으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을 나눠 분석한 결과에서도 수출기업은 95에서 82, 내수기업은 96에서 78로 지난 2분기보다 모두 급락했다.

BSI100 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글로벌 공급망 병목과 1,300원에 육박하는 고환율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국제유가·원자재가 안정화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고물가가 지속되면 국내 소비도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화장품·식음료 선방 차부품·석유화학 최악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기준치 100을 넘지 못해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화장품(100)과 의료정밀(95), 식음료(94)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특히 화장품과 식음료 업종은 코로나19 방역 해제 후 내수 진작 효과의 수혜를 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화장품의 경우 BSI 지수가 전분기 대비 23p나 대폭 떨어져 선방이라고 하기 어려운 지경이다.

조선(94)과 가구(91)도 선방했는데, 특히 조선업계는 최근 수주 호조와 고환율·고선가가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높은 원료 수입 비중으로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의 타격을 직접적으로 받은 자동차부품(69), 석유화학(63)과 비금속광물(61) 등은 최악의 경기 체감을 보였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보합세의 제주(100)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지난 분기 대비 BSI가 하락했다. 제주는 최근 방역 해제와 관광 호조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석유화학과 자동차·부품의 영향이 큰 대구(77)와 울산(71)을 비롯해 경남(79), 충남(76), 경기(75), 광주(72) 등 전국에 걸쳐 체감경기가 크게 떨어졌다. 특히 인천(68)과 대전(66), 전남(63), 세종(60)의 부정평가가 가장 두드러졌다.<제주(100), 서울(95), 전북(86), 강원(86), 부산(85), 경북(82), 충북(81), 경남(79), 대구(77), 충남(76), 경기(75), 광주(72), 울산(71), 인천(68), 대전(66), 전남(63), 세종(60)>

기업 과반이상 상반기 실적 목표치 미달
상반기가 마무리되고 있는 시점에서 응답 기업 절반 이상이 실적 부진을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실적(영업이익)이 올해초 계획보다 미달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54.9%인 반면, 목표치를 초과할 것으로 본 기업은 3.8%에 불과했다.<‘목표치 달성·근접’(41.3%)>

상반기 실적이 올해 초 계획에 미달했다고 응답한 기업들 열 곳 중 여섯 곳(62.6%)이 하반기 가장 우려하는 대내외 리스크로 물가·환율 변동성 지속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소비 위축’(52.3%), ‘공급망 병목 지속’(30.6%), ‘자금 조달여건 악화’(20.9%)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불안’(19.8%) 등 순이었다.<‘기업 부담법안 등 정책 리스크’(10.4%), ‘기타’(9.1%), 복수응답>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고물가, 고환율 등 고비용 압박을 받고 있어 내수와 수출 모두 침체의 기로에 서 있는 상황이라며 피해가 큰 업종을 대상으로 원자재가 안정, 세제 개선·지원, 수출금융 및 물류비 지원과 같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 방어와 민생 안정을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정부뿐 아니라 국회의 정상 가동과 초당적 협력이 이루어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뉴스레터뉴스레터구독신청

제휴사 cbo kantarworldpanel kieco
img img
스크린뷰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