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영 기자 jysim@cmn.co.kr
[기사입력 : 2025-09-25 오후 9:25:32]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9월 24일과 25일 서울 로얄호텔에서 2025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사진 제공=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CMN 심재영 기자] 2025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이 9월 24일과 25일 이틀간 서울 로얄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복지부 후원,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주최로 진행됐다. 글로벌 화장품 업계의 다양한 전문가들과 기업이 한 자리에 모여 최신 화장품 안전성 및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소통의 장이 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화장품 규제 동향, 안전성 평가, 대체시험법을 종합적으로 wjarjag라고 변화하는 글로벌 규제 환경 속에서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SCCS(유럽소비자안전과학위원회)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과 학계의 저명한 전문가 12명이 참여했으며, 150여 명의 업계 관계자가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조신행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원장 [사진 제공=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조신행 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은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할 만큼 빠르게 변화하는 구제와 정책 속에서 이번 심포지엄이 안전성 평가 기준과 정책 방향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Dr. CAROLINE BASSONI (COSMED) [사진 제공=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첫째 날인 24일은 글로벌 규제와 안전성 평가를 주제로 한 다양한 발표가 이어졌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과 한양대학교 배옥남 교수는 세계 주요 시장의 규제 개요와 국내 안전성 평가 현황을 소개하며 한국 화장품 산업이 직면한 과제를 제시했다. Dr.TED XING (L’Oreal) [사진 제공=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또한, 유럽의 최신 규제 동향과 자외선 차단제 제조업체를 위한 미국 FDA GMP 심사 전략, 그리고 최신 성분 예측 시스템을 활용한 안전성 평가 기업이 소개돼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둘째 날인 25잃에는 대체시험법과 차세대 위해성 평가(NGRA)가 논의됐다. 피부 감작성 평가, CMR 성분 규제, 천연 원료의 TTC 적용 사례가 발표됐고,NGRA 세션에서는 글로벌 기업의 실제 적용 사례와 구체적 전략이 공유됐다. Vera Rogiers (SCCS) [사진 제공=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특히 SCCS 공동의장인 베라 로지얼스(Vera Rogiers) 교수는 최신 규제 연구와 EU 현장 경험, 내분비계 교란 물질 및 염모제 사례를 종합적으로 다루며 NGRA의 산업적 적용 방안을 심도있게 제시해 큰 호응을 얻었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글로벌 규제, 안전성 평가, 대체시험법 등 화장품 산업의 현안을 폭넓게 다룬 자리였다”며 “국내 기업들이 국제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원도 협력과 네트워크 확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